땡스카본 스토리 땡스카본이 ‘생물다양성 영향평가’를 잘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생물다양성 영향평가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요? 왜 기업들이 이에 주목해야 할까요? 오늘은 자연 기반 해법을 통해 기업의 ESG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땡스카본의 독창적인 전략을 소개해줄 '안지우'님을 만나 이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들어보았습니다. 2025-03-26
ESG/CSR 인사이트 ESG 공시 완벽 대비, ‘생물다양성 영향평가’란 무엇일까? ESG 공시를 완벽하게 대비하는 생물다양성 영향평가 대응 전략, 땡스카본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02-13
프로젝트 생물다양성 남창천 국가보호철새 연구 및 서식지 복원 사업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국가보호종 조류 20종을 모니터링하고 서식지를 복원합니다. 울산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지역 상생서식지 복원 및 연구
땡스카본 스토리 ESG 경영, 성과 측정은 어떻게 할까? : 땡스카본 떼르(Terre) 땡스카본은 이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기업의 경영 목표에 맞춘 ESG 활동을 제안하고, 성과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서비스인 네이처테크 플랫폼 '떼르(Terre)'를 개발했습니다. 2024-10-21
프로젝트 생물다양성 천연기념물 우산종 맹금류 연구 및 서식지 복원 사업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 우산종 맹금류인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와 천연기념물 황조롱이를 모니터링하고 서식지를 복원합니다. 울산 멸종위기종서식지 복원 및 연구생물다양성
땡스레터 땡스레터 #29. 📮 지속가능경영, 더 똑똑하게 보고하기 🌏 '이중 중대성 평가 방법'은 2023년 1월 EU가 채택한 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의 실질적 방법론으로, 같은 해 7월에 공개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ESRS) 내 핵심 개념이랍니다. 2024-10-20
성공사례 ESG 경영으로 글로벌 잘파세대와 소통까지 성공한 LG화학 아마존 열대우림을 지구의 허파라고 부르죠. 이렇게 육지에 있는 숲이 탄소를 흡수하는 것은 익히 들어 알고 계실 거예요. 그런데 지구에서 만들어지는 산소의 절반 이상이 바다에서 생산되고, 바다가 육상생태계보다 최대 50배 많은 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4-10-09 블루포레스트
땡스카본 스토리 생물다양성 보전 사례 : 울주군 맹금류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 오늘은 생물다양성 보전이 왜 중요한지 알아보고, 땡스카본과 농어촌상생기금이 울주군 맹금류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로 어떻게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있는지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2024-09-13
프로젝트 생물다양성지역상생 생태계를 보전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둠벙 복원 사업 논과 밭에 물을 대기 위해 지하수나 빗물을 가둬뒀던 인공습지인 ‘웅덩이’를 사투리로 ‘둠벙’이라고 합니다. 둠벙을 잘 가꾸면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습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이뤄갈 수 있는 ESG 활동, 둠벙 복원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전국(협의) 생물다양성습지둠벙모니터링 및 연구물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