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사례 ESG 경영으로 글로벌 잘파세대와 소통까지 성공한 LG화학 아마존 열대우림을 지구의 허파라고 부르죠. 이렇게 육지에 있는 숲이 탄소를 흡수하는 것은 익히 들어 알고 계실 거예요. 그런데 지구에서 만들어지는 산소의 절반 이상이 바다에서 생산되고, 바다가 육상생태계보다 최대 50배 많은 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4-10-09 블루포레스트
땡스카본 스토리 생물다양성 보전 사례 : 울주군 맹금류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 오늘은 생물다양성 보전이 왜 중요한지 알아보고, 땡스카본과 농어촌상생기금이 울주군 맹금류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로 어떻게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있는지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2024-09-13
프로젝트 지역상생생물다양성 생태계를 보전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둠벙 복원 사업 논과 밭에 물을 대기 위해 지하수나 빗물을 가둬뒀던 인공습지인 ‘웅덩이’를 사투리로 ‘둠벙’이라고 합니다. 둠벙을 잘 가꾸면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습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이뤄갈 수 있는 ESG 활동, 둠벙 복원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전국(협의) 생물다양성습지둠벙모니터링 및 연구물 관리
프로젝트 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흑두루미 연구 및 서식지 복원 사업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흑두루미를 모니터링하고 서식지를 복원합니다. 멸종위기종의 개체수 감소를 막고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의 ESG 활동을 찾고 있다면, 흑두루미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강원도 철원전남 순천전남 여수전남 광양전남 고흥전남 보성충남 서산 멸종위기종서식지 복원 및 연구생물다양성
프로젝트 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애기뿔소똥구리 모니터링 및 연구 사업 급격한 산업화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 된 애기뿔소똥구리를 횡성군 연구소에서 키우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합니다. 멸종위기종의 개체수 감소를 막고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의 ESG 활동을 찾고 있다면, 애기뿔소똥구리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강원도 횡성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모니터링 및 연구
프로젝트 지역상생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금개구리 방사 프로젝트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환경 오염과 외래종 유입 등의 이유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 된 금개구리를 야생으로 방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합니다. 멸종위기종의 개체수 감소를 막고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의 ESG 활동을 찾고 있다면, 금개구리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전국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방사모니터링 및 연구
프로젝트 생물다양성지역상생 멸종위기종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붉은점모시나비 방사 프로젝트 기후 위기로 인해 멸종위기 I급이 된 붉은점모시나비를 야생으로 방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합니다. 멸종위기종의 개체수 감소를 막고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의 ESG 활동을 찾고 있다면, 붉은점모시나비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중북부 지역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방사모니터링 및 연구
프로젝트 생물다양성지역상생 멸종위기종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물장군 방사 프로젝트 도시화와 환경오염으로 사라지고 있는 멸종위기 2급의 물장군을 하천에 방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합니다. 멸종위기종의 개체수 감소를 막고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의 ESG 활동을 찾고 있다면, 물장군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전국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방사모니터링 및 연구
성공사례 제페토, 블루포레스트로 새 바람을 일으키다 블루포레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잘피를 심어 바다숲을 조성하는 과정을 미니게임으로 체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 제페토의 월드맵입니다. 커뮤니티존과 바다숲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뮤니티존에서는 노을과 파도소리를 즐기며 친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바다숲존은 미니게임을 통해 잘피를 키우고, 산호와 바위 등으로 나만의 바다숲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24-04-29 블루포레스트